전체 > 문화
유네스코 등재? 아직 시작도 안했다...종이를 찢어서 그림 그리는 '미친 예술'의 정체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한지회화’ 특별전이다. 한지회화는 물감 대신 색색의 한지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말 그대로 종이로 그리는 그림이다. 비슷한 색감의 한지를 여러 겹으로 잘게 뜯어낸 뒤 풀로 두드려 붙이면, 색들이 자연스럽게 섞이면서 물감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깊고 은은한 그러데이션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완성된 작품은 전통 한지만의 독특한 결을 고스란히 간직하면서도, 세련되고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뽐낸다. 이번 전시에서는 자연과 사람, 일상을 주제로 한 다채로운 작품들과 함께 협회 회원 10명이 공동으로 제작한 대작 ‘일월오봉도’ 등을 만날 수 있다. 친환경 재료인 한지와 풀만으로 완성되는 이 작업은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시대의 흐름과도 완벽하게 맞아떨어지는, 우리만이 할 수 있는 독창적인 예술 분야다.

물론 축제의 즐길 거리가 한지회화에만 머무는 것은 아니다. 한지로 만든 수의, 그릇, 이불 등 온갖 생활용품을 전시하는 ‘한지 생활관’은 과거 문창호지에 머물렀던 한지의 쓰임새가 현대인의 삶 속에서 얼마나 무궁무진하게 확장될 수 있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시켜 준다. 한지회화가 탄생하는 과정을 눈앞에서 볼 수 있는 시연 행사와, 직접 한지를 뜨고 공예품을 만들어보는 다채로운 체험 부스도 마련되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한지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 수 있다. 여기에 탄생화를 모티브로 한 아름다운 민화 작품 20여 점까지 더해져, 그야말로 한지가 펼쳐낼 수 있는 예술의 향연을 종합선물세트처럼 즐길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 모든 것을 기획하고 이끌어온 심화숙 회장은 2001년 협회를 창립하고 2002년 한일월드컵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등 일찌감치 한지의 세계화를 위해 뛰어온 인물이다. 프랑스 디자이너 피에르 카르댕의 초청으로 파리에서 전시를 여는 등 30회가 넘는 해외 전시를 통해 한지의 가치를 알려왔다. 그는 한지 실, 한지 솜 같은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산업화의 길이 험난한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도, 세계가 인정한 우리 문화유산의 명맥을 누군가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굳은 사명감을 이야기한다. 이번 축제가 단순히 작품을 선보이는 자리를 넘어, 한지회화의 무한한 예술적 가능성을 시민들과 함께 확인하고 즐기며 우리 전통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baro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BEST 머니이슈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120억 기부자 "150억 세금폭탄"에 울면서 한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