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바로경제
2030은 '가성비' 외치며 사는데… 5060은 여전히 '중국산' 못 믿는 이유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이러한 변화를 명확히 보여준다. 전국 성인 1000명 중 무려 57.6%, 즉 국민 두 명 중 한 명 이상이 이미 중국산 가전제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주변에서 중국산 제품을 사는 사람이 늘어난 것 같다"고 체감하는 비율도 45.3%에 달해, 중국산 가전의 확산이 개인적인 경험을 넘어 사회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비자들이 중국산 가전에 지갑을 여는 가장 큰 이유는 단연 '가성비(39.6%)'였다. 하지만 주목할 점은 단순히 '가격이 저렴해서(28.6%)'를 넘어 '품질이 좋아서(25.7%)'라는 응답이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과거와 달리, 이제는 품질 면에서도 국산이나 다른 해외 브랜드에 뒤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소비자들 사이에 자리 잡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중국산 가전제품을 직접 사용해 본 소비자들의 만족도는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구매 경험자 중 76.0%라는 압도적인 비율이 "제품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중국산이라서 구매를 망설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응답도 42.7%에 달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은 향후 구매 의향으로 이어져, 전체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7.0%가 "앞으로 중국산 가전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젊은 세대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제품의 생산지보다 가성비가 더 중요하다'는 질문에 20대는 65.5%, 30대는 60.0%가 동의하며, 브랜드의 국적보다는 실질적인 가치를 우선시하는 합리적인 소비 패턴을 보였다. 반면 50대(53.0%)와 60대(45.5%)는 상대적으로 생산지에 대한 고려도가 높았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의 이면에는 여전히 넘어야 할 거대한 불신의 벽이 존재한다. 전체 응답자의 79.3%는 여전히 '중국산 가전은 보급형 제품'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짝퉁이 많다'는 부정적인 시선 역시 7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더 심각한 문제는 안전과 보안에 대한 뿌리 깊은 우려다. 응답자의 72.0%가 '환경호르몬 등 제조 과정에 문제가 있을 것 같다'고 답했으며, 67.1%는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있을 것 같다'며 불안감을 드러냈다. 결국 현재 중국산 가전제품은 '뛰어난 가성비'와 '높은 실사용 만족도'라는 매력적인 얼굴과 '저가형 이미지'와 '안전 불신'이라는 어두운 얼굴을 동시에 가진 채, 한국 시장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는 셈이다.
baro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BEST 머니이슈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