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정치저널
"탈북? 어감도 안 좋다" 정동영 장관의 폭탄선언… '탈북민' 단어 사라지나?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 15일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 개관식 축사에서 이와 같은 계획을 직접 공개했다. 정 장관은 "'북한이탈주민'이 제일 싫어하는 단어가 바로 '탈(脫)'자"라고 지적하며, '탈북'이라는 표현이 주는 부정적인 어감을 문제 삼았다. 그는 이러한 배경에서 통일부가 명칭 변경을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했으며, 현재로서는 '이북에 고향을 두고 오신 분들'이라는 의미를 담은 '북향민(北鄕民)'이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청중을 향해 직접 "'탈'자를 떼버리고 북향민, 괜찮겠습니까?"라고 물으며 현장의 공감을 구하기도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다. 정 장관은 지난달 말 열린 북한이탈주민 정책간담회에서도 용어 변경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통일부는 지난달 북한이탈주민학회와 공식적으로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통일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과 일상적으로 쓰이는 '탈북민'의 변경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최종 결과는 오는 11월에 나올 예정이다.

실제로 북한이탈주민 사회 내부에서는 기존 용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꾸준히 존재해왔다. 지난해 통일연구원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한 북한이탈주민의 58.9%가 법적 용어 변경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대체 용어 선호도 조사에서는 '하나민', '통일민', '북향민' 등이 비슷한 지지를 받았다. 과거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에서도 '북배경주민'과 '탈북국민'이라는 대안을 제시한 바 있어, 용어 변경에 대한 논의는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에 관한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더 큰 난관은 대중의 언어 습관에 깊숙이 자리 잡은 '탈북민'이라는 표현을 바꾸는 것이다. 과거 정부 주도로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확산시키려 했으나,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사실상 사어(死語)가 된 전례가 있어 이번 시도 역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통일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 명칭 변경이 필요한지, 법적 용어와 일상 호칭 중 무엇을 바꿀지, 어떤 이름이 가장 적절할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baro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BEST 머니이슈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로또 972회 번호 6자리 몽땅 공개, "오늘만" 무료니까 꼭 오늘 확인하세요.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